HTTP     |                 |
<---  Status    |  Response.code  | Response.data.code
       Code     |                 |

{
    httpStatusCode: ?,   --> httpStatusCode는 해당 서버로부터 오는 모든 api 응답의 일관된 처리를 위한 error code로서 의미를 가짐
    body: {
        code: ?,         --> body.code는 해당 서버로부터 오는 모든 api 응답의 일관된 처리를 위한 error code로서 의미를 가짐
        data: {
            code: ?      --> body.data.code는 api의 성공/실패 보다는 코드값 자체로서의 의미.
        }
    }
}

// **body.code 가 httpStatusCode로 모두 커버가 된다면 통합하여 1depth 줄일 수 있음**
@FE에서 받는 다면

http.get(`/api-1/example`)
    .then(resultCodeHandler(   --> body.code 에러 처리
        data => {
            data.code = ...
        },
        this.failUrl))
    .catch(() => {});          --> httpStatusCode 에러코드 처리

http.post(`/api-2/bar`)
    .then(resultCodeHandler(   --> api는 다르지만, body.code 에러 처리는 일원화하여 처리한다.
    ...
Response<T> 타입
{
    "code" : {CommonCode},    // body.code가 된다.
    "message" : {String},
    "data" : T
}
예제) Response<FooResult> 타입
{
    "code" : {CommonCode},    // 서버 전역적으로 사용되는 공통 응답 코드.
    "message" : {String},
    "data" : {                // 해당 API specific한 데이터
        "code": {FooEnum},
        "field1": bla,
        "field2": bla,
    }
}

 

  • HTTP API 응답은 위와 같이 나갈텐데, 응답 말고 메서드 사이에서 반환하는 리턴값을, `` FooResult``처럼 code와 data로 처리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.
  • 이 때 '매번 `` FooResult`` 같은 데이터 클래스를 만들어야 하는가?' 에 대해서, 이를 커버하는 Result<T,R> 타입을 만들고 싶다면. 
Result<T, R> 타입 //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정의한 것이지 없어도 되는 타입. 각자 FooResult 만들어도 된다.
{
    "code" : T
    "message" : {String}
    "data" : R
}
Response<Result<T, R>> 이면
{
    "code" : {CommonCode},    // 서버 전역적으로 사용되는 공통 응답 코드
    "message" : {String},
    "data" : {                // 해당 API specific한 데이터
        "code" : T,
        "message": {String},
        "result" : R
    }
}

// 상기했듯 httpStatusCode로 커버가 된다면 Response 타입이 차지하는 layer를 생략 가능함.
// (Response.code -> HTTP status 로 표현 가능 하다면)

 

Http status code & Response.code ->
가능하다면 HTTP status code를 이용해서 Response<T> layer를 없애는 것이 좋다.

  1. `` Response<T>`` 을 반환하게 되면, 받는 쪽에서도 보통 제네릭으로 받아야 하므로 ParameterizedTypeReference를 사용해야 한다.
  2. 보통은 애초에 실패에 대한 정보를 그렇게 계층적으로 구조화 할 필요가 없어서 불필요한 체크가 늘어난다. (HttpStatus 만으로도 충분하다)

 

```java

ResponseEntity<Response<MyResponse>> responseEntity = ...

 

if (!responseEntity.getStatusCode().is2xxSuccessful()

    || !ResultStatus.OK.getCode().equals(responseEntity.getBody().getCode())

    || responseEntity.getBody().getData().getAuthLevel() != AuthLevel.ONE) {

    new FooException("오류");

}

```

예제를 보면 체크를 3번이나 수행했다.

  1. 외부 API 응답 자체가 정상인지 (200 OK)
  2. 외부 API의 Response.code 가 정상인지
  3. 외부 API의 Response.data.code(authLevel) 이 정상인지

 

  • 물론 어디서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구분해서 처리가 달라야 한다면 위와 같이 3번 체크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다.
  • 하지만 이렇게 3단계로 계층화 해서 처리해야 하는 경우는 잘 없음. 보통 내가 관심 있는 것은 "외부 API가 결과 data를 줬냐 안줬냐" 이다. (1,2번 묶음)
    • 보통 그냥 외부 API에서 응답 제대로 주지 않는 [1, 2] 상황은 굳이 구분 할 필요가 없어서 묶어서 체크하는게 낫다.
    • => REST api  
  • [2, 3]을 묶어서 처리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다. authLevel은 꼭 봐야 하니까.
  • *** 이렇게 여러 체크 중 어디서 실패하든 종단 처리로 가야하는 경우, Optional.filter 사용하는게 더 깔끔할 수도 있다.

 

Response.code & Response.data.code ->
Response.data.code는 꼭 필요한 순간들이 있다.

위 예제에서 authLevel은 클라이언트에서 반드시 참조해야 하는 data code 이므로 [2, 3]을 묶어서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함을 확인했다.

하지만 Response.data.code가 authLevel 같은 data code가 아니라, 단순한 성공/실패 응답 코드의 의미를 지닐 때에도 Response.data.code를 별도로 두는 것이 나은가?

 

예를 들어 bin 조회 같은 경우, 응답 케이스를 다음과 같이 세분화 할 수 있는데

1. 성공 및 결과 반환

2. 성공이나 해당 bin 찾을 수 없음 (NOT FOUND)

3. 성공이나 미지원 카드사

4. 실패로 입력값 에러 (PARAM ERROR)

5. 외부 에러 (EXTERNAL ERROR)

 

클라이언트 측에서 1~5 응답에 따른 분기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가정할 때,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 (즉, 1~5 응답은 반드시 클라이언트에서 구분되어야 한다.)

 

  1. [1-5]를 모두 통합 코드 enum에 추가한다. (Response<T> layer가 있는 경우)
    • 해당 API에서만 발생하는 오류(특히 3번)임에도 통합 코드에 넣는 것이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.
    • 이런 식으로 각 API에서 모두 통합 코드에 추가하다 보면 통합 코드 표가 너무 비대해진다.
  2. [1-5] 각각 Http status code를 하나씩 부여한다. (Response<T> layer가 없는 경우)
    • 1, 2, 3은 모두 성공인데, 각각 어떤 status code를 내려 줄 것인가?
    • [1=200, 2=204, 3=???...] 애매하다. 이처럼 HTTP status 정의와 서버에서 의도한 응답의 의미는 100%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잦은데, API docs에 "이 API에서 발생하는 `` xxx`` status는 이런 의미를 가진다." 라고 반드시 명시해주어야 한다.
    • docs에 명시 한다고 하더라도, 따로 message를 응답으로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Error message를 띄울지는 클라이언트에서 모두 관리해야 한다.
    • 클라이언트에서 HTTP status에 따른 통합 handler를 사용하고 있다면, 거기에 들어맞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.
  3. [1-3]은 Http status 200으로 처리하고, 그 안에서 Response.data.code를 사용해 구분한다.
    • 이런 상황에서 사용했을 때 여러모로 장점이 많다.
    • 세부 응답 코드는 API에 종속적인 코드이므로, 변경이 있을 때 해당 API 이용자 에게만 고지하면 된다. (공통 응답 코드 기조를 바꾸는 것 보다 부담이 적다)
    • 코드를 2개 이상 반환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.
    • 메시지도 함께 반환 가능하다.

 

즉 HTTP status(또는 Response.code)의 하위 집합으로 Response.data.code를 사용하는게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.

 

중요 ) 응답 코드를 구성할 때는 클라이언트의 관심사가 무엇이냐를 생각해야 한다.

외부에서 받은 응답 코드를 그대로 내려주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은 아닐 수 있음.

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라면 응답 코드를 적당히 추상화해서 내려주는 것도 필요하다.

즉, 공통 코드 + 세부 코드로 내려줄 수 있는 상황이지만, 공통 코드로 merge 해서 내려주는 것.

 

이를 판단하는 좋은 기준은, 어떤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더라도(클라이언트가 n개가 되더라도) 모두 같은 처리를 할 것 같은가?를 생각해보는 것이다.

 

공통 응답 코드를 사용할 때는, 해당 공통 응답 코드를 깊은 layer에서 반환 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한다.

그래서 공통 응답 코드는 반드시 의미와 역할이 명확해야 한다. 의미가 명확한 공통 응답 코드라면, 어느 layer에서 반환하든 같은 의미를 지닐 것이므로 클라이언트에서 받았을 때 처리가 달라지지 않아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.

 

기타

서버에서 제공하는 api 이더라도 각 api 마다 응답 코드도 다르고 의미도 다르다면, 사용하는 쪽에서 일관된 처리 인터페이스를 작성할 수 없다.

그래서 상기한 응답 구조는 해당 서버로부터 오는 모든 api 응답에 대해 일관된 처리를 공유할 수 있도록 일종의 공통 응답 코드(CommonResponseCode)가 존재해야 함을 전제하고 있다.

 

  공통 응답 코드가 있는 경우 개별 응답 코드만 사용하는 경우
응답 코드 Enum 대부분의 응답은 공통 응답 코드 Enum을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다. 각 API 마다 모두 각자의 응답 코드 Enum을 정의해야 한다.
클라이언트 처리 클라이언트 코드에서 공통 처리부 CommonHandler를 정의할 수 있다. 공통 처리부를 정의할 수 없다. 그러나 어차피 같은 공통 응답 코드(e.g., 404)반환하더라도 API 마다 그 응답의 의미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공통 처리부는 크게 의미가 없을 수 있다.
     
     

이러한 장단점을 생각해 보면 공통 응답 코드가 존재하는 것이 관리하기 더 나은 경우가 많았다.

 

'System Design > external API desig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EST api / RESTful 이란.  (0) 2019.05.03